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5 세제개편안, 육아 분야 세금 혜택 총정리

by lovebabystory 2025. 8. 4.

안녕하세요😊
오늘은 예비맘·육아맘·육아대디들이 꼭 알아야 할 2026년 세금 혜택 변화를 정리해 드릴게요.


기획재정부가 발표한 2025 세법 개정안 중, 육아 가정 맞춤형 변화만 쏙 뽑아서 보기 쉽게 정리했습니다.

 

-향후 추진 일정-

 731() : 2025년 세제개편안 발표

 81()814() : 입법예고(14일간)

 821() : 차관회의

 826() : 국무회의

 93() 이전 : 정기국회 제출

 

📝 주요 변경 한눈에 보기

구분 변경 전 변경 후 적용 시기
신용카드
소득공제 한도
기본 300만원 자녀 1명당 +50만원
(최대 100만원)

연봉 7천만원 초과자는
자녀 1명당 +25만원
2026.01.01
보육수당 
비과세 한도
가구당 월 20만원 자녀 1명당 월 20만원 2026.01.01
예체능 학원비
공제
해당 없음 초등1~2학년, 9세 미만
예체능 학원비 15% 공제
2026.01.01
대학생 교육비
공제
소득 요건 있음 소득 요건 폐지
대학생 1인당 900만원 한도
2026.01.01
육아휴직수당
비과세 한도
월 150만원 사립학교 사무직원, 사학연금법 적용 교직원 포함

1~3개월: 250만
4~6개월: 200만
7개월 이후: 160만
2026.01.01

 


1️⃣ 신용카드 소득공제 한도 확대

 

- 총급여 7천만 원 이하: 자녀 1명당 50만 원씩 한도 ↑ (최대 400만 원)

- 총급여 7천만 원 초과: 자녀 1명당 25만 원씩 한도 ↑ (최대 300만 원)


💡 Tip : 체크카드·현금영수증은 공제율이 30%라, 신용카드보다 절세 효과가 큽니다.

 

2️⃣ 보육수당 비과세 한도 2배 ↑

 

6세 이하 자녀에 대한 보육수당 관련하여 자녀수만큼 비과세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- 기존: 자녀 1명당 월 20만 원까지만 비과세

- 변경: 자녀 수 × 월 20만 원까지 비과세 (예: 자녀 2명 → 월 40만 원 비과세)

 

3️⃣ 초등 저학년 예체능 학원비 세액공제

 

과세기간 종료일 기준 9세 미만 또는 초등 2학년 이하 자녀의 미술, 피아노, 태권도 등 예체능·체육 학원비도 교육비 세액공제(15%) 가능해집니다.

 

💡 Tip: 아이 학원비 영수증 꼭 챙겨두세요!

 

4️⃣ 대학생 교육비 공제 소득요건 폐지

 

대학생인 자녀가 아르바이트 등 근무를 하여 일정 소득이 발생하는 경우 세액 공제가 불가은 하였으나, 이제 대학생 자녀가 소득이 있어도 교육비 세액공제가 가능해집니다.


- 기존: 직계비속(대학생)은 일정 소득 요건 충족 시만 공제 가능

- 변경: 소득 요건 삭제 → 아르바이트를 하더라도 공제 가능

- 한도: 대학생 1인당 900만 원 15% 세액공제

5️⃣ 육아휴직수당 비과세 구간 확대

 

기존에는 공무원, 교직원 중 일부만 비과세 대상이었으나 개정 후 사립학교법,사학연금법 적용 교직원까지 포함됩니다.

 

- 비과세 한도: 

1~3개월: 250만
4~6개월: 200만
7개월 이후: 160만

 

 📅 적용 시기

모든 변화는 2026년 1월 1일 이후 지출·수당부터 적용
➡ 2026년 연말정산부터 혜택 반영

 



이번 개정은 자녀 수가 많고, 교육·보육 지출이 많은 가정일수록 혜택이 큽니다.
특히 육아휴직 초기 3개월과 보육수당 비과세 확대는 체감 효과가 클 것으로 보입니다.

 

우리 가정이 해당되는 제도가 무엇이 있는지 연말정산 때 반영할 수 있도록 꼼꼼히 살펴보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