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늘은 경기도 성남시에 거주 중인 임산부 및 육아맘들을 위한 출산 혜택을 총정리해보려고 합니다.
출산 이후 받을 수 있는 정부+지자체 지원금은 놓치면 너무 아깝죠! 첫아이든 셋째든, 산후조리비부터 장려금까지 지금 받을 수 있는 혜택들을 하나하나 정리해드릴게요.
1. 첫만남 이용권 (전국 공통)
📍 어떤 내용인가요?
- 아이가 태어나면 지급되는 일종의 '국민지원금'과 같은 바우처예요.
- 국민행복카드에 포인트 형태로 지급되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답니다.
👶 누가 신청할 수 있나요?
- 2024년 1월 1일 이후 출생아부터 신청할 수 있어요.
- 출생신고 후 정상적으로 주민등록번호를 부여받은 아동(출생아)의 보호자가 신청 대상입니다.
💰 지원 금액은 얼마인가요?
- 2024년 이후 출생아: 첫째 아이 200만원, 둘째 아이부터는 300만원이 지급됩니다.
- 2024년 1월 1일 이전 출생아 중 24개월 이하 아동은 100만 원을 지급받습니다.
🛒 어디에 사용할 수 있나요?
- 유흥업소, 마사지 등 위생업종, 레저업종, 성인용품점 등 특정 업종을 제외한 대부분의 온/오프라인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합니다. (아기 용품, 병원비, 음식점 등 폭넓게 사용 가능해요!)
🗓️ 신청 시기 및 방법
- 신청 시기: 아동 출생일로부터 2년 이내에 신청해야 합니다.
- 신청 방법:
- 주민센터 방문: 아이의 주민등록지 관할 행정복지센터(주민센터)에 방문하여 신청할 수 있어요.
- 온라인 신청: '복지로(www.bokjiro.go.kr)' 또는 '정부24(www.gov.kr)' 웹사이트를 통해서도 편리하게 신청 가능합니다.
2. 경기도 산후조리비
📍 어떤 내용인가요?
- 경기도에 거주하는 출산 산모에게 건강한 산후 회복을 돕기 위해 지급되는 지원금입니다.
- 소득수준과 상관없이 누구나 신청 가능하다는 점이 큰 장점이에요!
👶 누가 신청할 수 있나요?
- 신청일 기준으로 경기도에 주민등록을 둔 산모가 대상입니다. (부 또는 모 중 1인 신청 가능)
💰 지원 금액은 얼마인가요?
- 출생아 1인당 50만원을 지역화폐(지정병원)로 지급합니다.
- 다태아(쌍둥이 등)의 경우 출생아 수에 비례하여 50만 원씩 추가 지급되니 더욱 든든하죠!
🛒 어디에 사용할 수 있나요?
- 산후조리비, 모유수유 용품, 출산 패키지 구매, 산모건강관리(한약 처방 포함), 보충식품 및 영양제 구매, 마사지 등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.
🗓️ 신청 시기 및 방법
- 신청 시기: 출생일 기준 12개월 이내에 신청해야 합니다.
- 신청 방법:
- 주민센터 방문: 주소지 관할 행정복지센터(주민센터)에 방문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.
- 온라인 신청: 경기도 공식 웹사이트인 gg24.gg.go.kr을 통해서도 신청 가능해요.
3. 성남시 출산장려금 (출산장려금 / 다자녀 아동 양육수당 / 다자녀사랑 안심보험)
📍 어떤 내용인가요?
- '출산장려금'은 성남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아이를 출생하거나 입양 신고한 부모에게 지급되는 현금 지원금이에요.
- '다자녀 아동 양육수당 / 다자녀사랑 안심보험'의 경우, 셋째자녀 이상 입양아 아동이 있는 경우 지급되는 지원금입니다.
👶 누가 신청할 수 있나요?
(1) 출산장려금
- 출산일을 기준으로 부 또는 모가 시에 180일 이전부터 주민등록을 두고 계속 거주하며 자녀를 출생신고 한 경우
- 거주 기간 조건: 180일 미만 거주시, 출생 신고일 이후 성남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180일 이상 거주하면 장려금 지급
(2) 다자녀 아동 양육수당
- 신청일 현재 부 또는 모와 셋째이상(입양아) 자녀가 성남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
(3) 다자녀사랑 안심보험
- 신청일 현재 부 또는 모와 셋째이상(입양아) 자녀가 성남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
💰 지원 금액은 얼마인가요?
(1) 출산장려금
- 첫째 아이: 30만원 (카드형 지역화폐로 지급)
- 둘째 아이: 50만 원 (카드형 지역화폐로 지급)
- 셋째 아이: 100만원
- 넷째 아이: 200만 원
- 다섯째 아이 이상: 300만
(2) 다자녀 아동 양육수당
- 월 10만원 (신청월 부터 ~ 취학 전까지)
(3) 다자녀사랑 안심보험
- 단체보험 7년납 / 7년보장
🗓️ 신청 시기 및 방법
- 신청 시기
- 출산 장려금: 출생신고일로부터 3년이내 신청
- 다자녀 아동양육수당: 출생신고 당일부터 신청가능, 전입신고 후 해당 아동이 있는 경우 신청 가능 (신청접수 월부터 지급)
- 다자녀사랑 안심보험: 출생일로부터 1년 이내 신 - 신청 방법: 아이의 주민등록지 관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(주민센터)에 방문하여 신청하세요.
✅ 참고 및 문의처
성남시청 여성가족과 ☎ 031-729-2915
'임신출산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 오산시 출산지원금 총정리 (+출산장려금 / 산후조리비 / 첫만남이용권 / 육아용품 최신정보) (1) | 2025.08.05 |
---|---|
임신 1분기 영양제, 뭐부터 먹어야 할까? (5) | 2025.07.31 |
일리윤 vs 비오템 튼살크림 솔직 비교 (직접 사용해본 리얼 후기) (2) | 2025.07.29 |
스타벅스 임산부 무료음료 쿠폰 2장 증정 혜택 (4) | 2025.07.29 |
임산부 적금 혜택 총정리 - 2025년 고금리 적금 (은행별 이율 정리) (8) | 2025.07.28 |